본문 바로가기

생활코딩

(3)
WEB2 - CSS 꺄하 드디어 CSS!!! 학교에서 플젝할 때, 인턴할 때 느꼈던 건데, CSS는 진짜 뭐라해야하지 잡다한 게 너무 많다. 근데 나는 기초가 안 되어 있으니 맨날 해봤자 검색해서 찾은 코드들을 짜집기한거고,, 당연히 내 맘대로 안 되고,, 왜 이렇게 되는지 이해도 안 되고,,, ㅋㅋㅋ 코딩야학이 나를 좀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주길 바란다 ㅋㅋ WEB이 등장할 땐 HTML만 있었는데, 이는 컴퓨터를 통해서 정보를 표현하고 인터넷을 통해서 전세계 누구나 읽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물론 처음에는 HTML을 이용해서 문서를 만들 수 있게 된데 만족했지만, 곧 여러가지 불평이 터져나온다. 웹페이지가 아름답지 않다는 것이다. 당연히 중요한 거라고 생각한다. 이게 중요하지 않으면 시각디자인/서비스디자인은 왜 있겠어? 사..
WEB1 - Server & Client * 이 포스팅의 내용은 이고잉님의 코딩야학 강의 내용을 혼자 보기 좋게 정리한 것입니다* 사실 이 것도 다 WEB1 강의 안에 있는 내용인데, 좀 다른 종류의 내용인 것 같아서 내가 찾아보기 쉽게 분리했다. 이번에는 Serve와 Client 그리고 hosting 등등에 대한 내용! 그리고 이고잉님이 간단하게 설명해주신 원시웹에 관한 내용도 아주 조금 ㅎㅎ... 생각보다 코딩야학 너무 재밌다. Internet vs WEB internet과 web이 다른 것일까? ㅇㅇ 다르다. 내가 가장 쉽게 이해되었던 이고잉님의 비유들은 다음과 같다. 인터넷이 도시라면 웹은 그 안의 건물들이다. 인터넷이 도로라면 웹은 그 위를 달리는 자동차이다. 1960년에 internet이 등장하고, 1990년에 web이 등장한다. I..
WEB1 - HTML HTML 기본에 대한 정리. 틀린 것/ 수정, 보완할 것이 있으면 언제든 댓글달아주세요! 이고잉님 진짜 짱짱맨이다... 항상 웹 뭔가 뒤죽박죽으로 아는 것 같았는데 강의 한 번 쭉 들으니까 머리속에서 정리가 됐다. *글 자체는 내 맘대로 정리해서 뒤죽박죽일 수 있음* (아 그리고 멋지게 해보려고 마크다운이랑 html로 작성할까해서 에디터모드를 좀 왔다갔다했더니 설명에 이런식으로 태그쓴 것 때문에 글이 엉망진창이 되었었다. 멍청한짓하지말자,,,) Tag coding coding h1 ~ h3 : heading p : paragraph 구분 이 두 코드는 같은 결과를 도출한다. 하지만, 검색엔진은 후자의 편을 들어준다! 두번째 라인은 coding에 h3 태그를 줌으로써 제목이라고 확실시 명시되어 있기 때문이..